부동산과경매22 주택 임대차 신고 전월세신고 및 과태료 오늘은 간단하게 주택임대차 신고에 관하여 알아볼게요~ 주택 전월세 신고제가 원래 2023년 5월 31일까지 계도기간이었지만 2024년 5월 31일까지 다시 1년 연장이 되었네요. 부동산중개인이 주택 임대차신고를 해야하는 의무는 없습니다. 물론 중개인이 거래를 했기때문에 대부분 대신 신고 해주기도 합니다.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 임대차 계약 당사자는 임대차 계약 체결일부터 30일 이내에 임대 기간, 임대료 등의 계약 내용을 주택 소재지 관할 신고 관청에 공동으로 신고 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금액 변동없는 갱신 계약은 제외합니다. 주택 임대차 신고제 대상주택 아파트, 다세대, 준주택(고시원, 기숙사등) 비주택 (공장, 상가 내 주택, 판잣집등) 해당 임대차 계약 체결당시의 실제용도, 임대차의 목적, 전체 .. 2023. 6. 15. 일시적 2주택자가 되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처음으로 일시적 2주택자가 되었던 기억을 떠올려서 간단하게 글을 적어 보겠습니다. 이게 투기가 되는지 투자가 되는지 잘은 모르겠지만 ,아마도 2014-5년경쯤 됐을 거예요. 처음 해보는 경험이었고 그냥 주위 사람들이 이렇게 한다고 해서 그 당시 맘에 드는 아파트가 있어어 한번 도전해 봤습니다. 그땐 잘 몰랐지만 지금 생각해 보니 그게 바로 일시적 2 주택자 상태였던 거 같습니다. 이사 갈 집을 미리 사놓고선 현재 살던 집을 매수한 집으로 이사 가기 전에 매도하고 가는 방법이었던 거죠. 투기라기보단 일단 사놓고선 2-3년 후에 내가 들어가서 살아야겠다는 생각으로 아파트를 매입했던 거 같아요. 어쨌든 변변한 직장생활도 안 해봤던 내가 어찌어찌 이런저런 일 하며 아끼고 살다 보니 목돈.. 2023. 6. 4. 아파트 층간소음 해결방법 및 층간소음 분쟁조정 층간소음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에 관하여 포스팅해 볼 텐데요. 대한민국 국민의 70% 이상은 아파트 공동주택에서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당해보면 정말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에 시달리게 되고 결국엔 이사까지 가야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요. 아래 층간소음 대처법 및 층간소음 기준과 층간소음 해결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볼게요. 아파트층간소음 아파트나 공동주택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음향기기 등을 사용하는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소음 벽간소음 및 인접한 세대 간의 소음포함 욕실 화장실 및 다용도실 등에서의 급수 배수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은 층간소음 범위에서 제외. 층간소음기준(등가소음도:db) 층간소음의 구분 층간소음의 기준(단위:db) 주간(06:0.. 2023. 5. 15. 법정지상권 지료 청구 및 법정지상권 깨뜨리는법 법정지상권 지료청구 및 법정지상권 깨뜨리는 법 등에 관하여 간략히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경매하다 보면 물건상세내용에 가끔 나오는 법정지상권, 너무 복잡할 거 같아 그냥 패스하게 되는 경우가 많죠 법정지상권 물건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고 풀어나가야 할지 천천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법정지상권 저당권설정당시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동일인인 경우. 저당권 설정당시 토지 위에 건물이 실제로 존재했을 경우. 공매나 강제경매로 인하여 토지와 건물의 소유주가 달라졌을 경우. 법정지상권 성립예 토지와 건물에 공동저당권 설정 후 낡은 건물철거 후 새로 축조한 경우 법정지상권 성립 하지 않음. 법정지상권이 성립되는 미등기 건물을 매매 시엔 처분할 수 있는 권리는 있습니다. 하지만 건물 소유권을 취득하지 못해 법정지상권 성.. 2023. 5. 14. 이전 1 2 3 4 ··· 6 다음